로그인 관리
서비스 IP 접근설정을 비롯하여 로그인과 관련된 보안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ⓘ 관리자 권한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.
관리자 페이지 > 보안 관리 메뉴를 통해 다음과 같은 보안 기능들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- 동시접속 허용 : 같은 아이디로 서비스에 동시 접속하는 것을 허용할 지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.
- 자동 로그아웃 : 관리자가 설정한 시간 동안 사용자가 사이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사이트가 자동으로 로그아웃 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.
- 서비스 IP 접근설정 : 그룹웨어에 접근할 수 있는 IP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으로 부분 허용 설정 시 허용한 IP에서만 그룹웨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.
비밀번호 정책
가장 기본적인 보안을 위해 다음과 같은 비밀번호 정책이 적용됩니다.
비밀번호 변경 주기 / 강제 변경
비밀번호 변경 주기는 1개월 ~ 12개월까지 설정할 수 있고, 관리자가 설정한 주기에 따라 비밀번호를 변경해야 합니다. 추가로 강제 변경 체크 시에는 비밀번호를 반드시 변경해야 서비스를 로그인 및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접속환경관리
사용자가 보안설정 페이지를 통해 설정하는 것과 동일하게 관리자도 모바일 앱의 접속 차단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보안 관리 > 모바일 접속차단 (MAM) 메뉴로 이동합니다.
1. 구분값(이름/메일/디바이스ID)을 설정 후 그에 맞는 내용을 입력하여 검색합니다.
2. 접속설정의 [ON] 값을 클릭하여 차단을 설정합니다.
사용자/관리자 페이지 모두 모바일 앱 접속차단 설정이 [사용] 으로 설정되어 있어야 기기의 접속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.
접근기록관리
그룹웨어에 접속하는 멤버들의 디바이스별 로그인 이력으로 부서원들의 접근 현황 파악 및 기록 관리를 할 수 있고, 메뉴 접속 시 아래의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시간 : 사용자가 로그인 한 일시가 확인됩니다.
- 이름(이메일) : 사용자의 이름 및 메일 주소가 확인됩니다.
- 부서 : 사용자의 부서가 확인됩니다.
- 상태 : 사용자의 로그인 결과 상태 값이 확인됩니다.
- 유형 : 사용자의 접근 경로에 따라 사용자 페이지는 USER, 관리자 페이지는 ADMIN으로 확인됩니다.
- IP : 사용자의 IP가 확인됩니다.
- 디바이스 : 사용자가 접속한 디바이스 환경(PC,모바일)이 확인됩니다.
- 브라우저 : 로그인을 시도한 사용자가 사용중인 브라우저 명이 확인됩니다.
- 운영체제 : 로그인을 시도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기기의 운영체제가 확인됩니다.
- 목록 다운로드 : 목록을 다운로드 하는 시점에 확인되는 데이터를 CSV 파일로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.